베트남 주식 시장이 오전 세션의 깊은 하락을 딛고 오후에 반등하며 VN-I지수가 10포인트 상승 마감했다. VIC(빈그룹), VHM(빈홈스), LPB(에스테이트뱅크)가 안정적인 녹색을 유지한 가운데, MWG(모바일월드), FPT(에프피티), STB(사이공커머셜뱅크)가 반등하며 지수를 견인했다. 그러나 시장은 여전히 '외형은 녹색 껍데기, 속은 빨강색' 상태로, 200개 이상의 주식이 하락세를 보였다. 오후 세션 반등, 기둥주식의 역할 부각 9월 11일 오후 거래 시작 시 VN-지수는 기준선 아래를 유지했으나, 빠르게 회복세를 보였다. 오후 2시 이후 지수가 기준선을 넘어 10포인트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는 오전 세션의 매도 압력에도 불구하고 기둥주식들의 안정적 성과 덕분으로 분석된다. 호치민증권거래소(HoSE)의 VN-지수는 오전 1,629.5포인트로 어제 대비 14포인트 하락하며 1,640포인트 선으로 떨어졌다. VIC, VHM, LPB는 높은 유동성과 함께 녹색을 유지하며 시장 안정에 기여했다. 추가로 MWG, FPT, STB가 하락에서 반등하며 지수를 지지했다. 그러나 전체 시장은 200개 이상의 주식이 가격 하락을 기록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부동
엘솔루는 글로벌 게임·엔터테인먼트 운영 및 현지화 전문 기업 엔큐브(ENCUBE)와 AI 영상 번역 서비스 ‘딥세임(deepSAME)’의 일본 시장 진출을 위한 사업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일본 내 교육, 영화, 드라마, 게임 등 영상 콘텐츠는 물론 마케팅 제작까지 아우르는 전방위 AI 컨버전스 사업을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최신 리서치(IMARK, Business Research Insights)에 따르면 일본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시장은 2024년 약 127억달러 규모에서 2033년 약 308억달러에 도달할 전망이며, 연평균 성장률은 10.4%에 달한다. 더불어 글로벌 영상 로컬라이제이션 시장도 2025년 약 37억5000만달러에서 2034년 약 70억달러 규모로 연평균 7.2% 성장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지표는 일본 내 영상 번역·현지화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임을 보여준다. 엘솔루의 딥세임은 사용자의 고품질 동영상을 쉽고 빠르게 다국어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글로벌 전개를 지원하는 서비스다. 특히 정교함과 디테일을 중시하는 일본 문화에 맞춰 딥세임은 기대치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번 협업
‘나답게, 빛나게’ AAA급 3D 스타일링 게임 ‘스타일라잇’이 9월 10일 국내 정식 출시됐다. 스타일라잇은 언리얼 엔진 4 기반의 첨단 그래픽 기술을 바탕으로 40만 개 이상의 폴리곤을 활용해 정교하고 사실적인 캐릭터 구현이 가능한 3D 스타일링 게임이다. 여기에 5000종이 넘는 무료 의상, DIY 염색 기능, 미세 조정이 가능한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을 지원해 유저는 세상에 단 하나뿐인 자신만의 개성 있는 캐릭터를 제작할 수 있다. 스타일라잇은 지난 8월 진행된 사전 체험판에서 게임을 접한 유저들이 풍성한 콘텐츠와 자유도 높은 커스터마이징을 극찬했으며, 각종 매체 또한 ‘현존하는 2D 스타일링 게임의 한계를 뛰어넘은 고품질 3D 스타일링 게임’이라는 평가를 내린 바 있다. 특히 글로벌 버전이 먼저 출시돼 전 세계 유저들에게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는 스타일라잇은 다년간의 운영 노하우와 꾸준히 선보이는 신규 테마 의상으로 유저들의 창의성과 심미적 욕구를 만족시켜왔다. 또한 현실감 있는 몰입 경험을 위해 매 순간 기술적 진화를 이어가며 업데이트마다 한층 더 섬세해진 디테일과 표현력을 제공해 이용자들에게 높은 몰입감을 선사한다. 사전 예약 기간 동안 운영된 체험
B2B 금융 AI 에이전트 기업 웹케시(대표 강원주)는 NH농협은행에 자사 AI 금융 에이전트를 공급해 은행권 최초로 AI 기능을 적용한 기업용 자금관리 서비스 ‘NH하나로브랜치’ 리뉴얼 베타 서비스를 지난 3일 선보였으며, 11월 정식 출시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이번 리뉴얼은 웹케시가 지난 6월 개발 완료한 AI 금융 에이전트를 적용해 구현한 것으로, 기업 고객들은 별도의 도입 절차 없이 기존 NH하나로브랜치 서비스 내에서 자연스럽게 AI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리뉴얼된 NH하나로브랜치는 기존 자금 담당 실무자 중심의 서비스를 확장해 CEO와 CFO도 사용할 수 있는 AI 자금비서 기능을 탑재했으며, 자금 업무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직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대화형 어시스턴트 기능을 제공한다. 기존 화면 내에서 이용 가능하며, 모바일 앱과 PC 웹 브라우저에서 아이디/패스워드 입력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주요 기능으로는 사용자의 자금 관련 질문에 답하는 대화형 질의응답 기능이 있으며, 매일 아침 정해진 시간에 자동으로 작성되는 자금 관련 보고서 기능 및 모든 은행의 입·출금 이상거래를 알려주는 이상거래 탐지 기능 또한 향후 단계적으로 확대 제공
AI 전문 기업 솔트웨어가 9월 1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되는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 주관 ‘AWS 퍼블릭 섹터 데이 2025(AWS Public Sector Day 2025)’에 참가해 공공기관과 교육기관, 헬스케어 고객 특화 AI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솔트웨어는 이번 행사에서 AI 기반 보안 서비스 ‘Sapie-Guardian’과 Agent AI 기반 챗봇 서비스 ‘Sapie-Bot’을 선보인다. Sapie-Guardian은 공공기관과 헬스케어 고객을 위한 민감정보 보호 서비스로, 개인정보와 기밀정보가 AI 애플리케이션(ChatGPT, Gemini 등) 사용 과정에서 유출되는 것을 사전에 탐지하고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Sapie-Bot은 단순 대화형 응답을 넘어 사용자의 맥락을 이해하고 스스로 판단하는 초개인화 업무 어시스턴트로, Advanced RAG(검색 증강 생성) 기술을 기반으로 질의응답, 보고서 작성, 데이터베이스(DB) 조회, 그룹웨어 연동 업무 처리 등 실무 자동화를 지원한다. 솔트웨어의 AI 솔루션은 이미 국내 주요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과 성형정보 플랫폼 등에서 도입돼 서비스 응답속도
레거시 반도체 장비 시장의 글로벌 리더인 서플러스글로벌은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대만 타이베이 난강 전시센터(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에서 열리는 ‘세미콘 타이완 2025(SEMICON TAIWAN 2025)’에 참가(부스 번호: M1140)한다고 밝혔다. 서플러스글로벌은 글로벌 레거시 반도체 장비 및 부품 솔루션 기업으로, 이번 전시회에서 AI 기반의 글로벌 플랫폼 ‘세미마켓(SemiMarket.com)’을 소개할 예정이다. 세미마켓은 분산적이고 비효율적인 레거시 반도체 부품 생태계를 하나의 신뢰할 수 있는 글로벌 마켓플레이스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올해 12월 그랜드 오프닝을 앞두고 있다. 주요 전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세미마켓(SemiMarket.com) 플랫폼 소개: 레거시 반도체 장비 및 부품 거래를 위한 AI 기반 글로벌 플랫폼 - 레거시 장비 및 부품 업사이클링: 리퍼비시 및 리마케팅을 통한 장비 수명 연장 - 대만 현지 매니지먼트: 팹 장비 반출/반입, 일정 관리, 기술 지원 등 종합 서비스 제공 서플러스글로벌 김정웅 대표는 “대만은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선도기업 비댁스가 갤럭시디지털(이하 Galaxy)의 자회사이자 기관급 커스터디 플랫폼인 GK8의 핵심 기술을 도입한다. 이는 국내 기관 투자자를 위한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서비스의 보안 기반을 한층 더 강화하기 위함이다. 비댁스는 독보적인 GK8의 △콜드 월렛(Impenetrable Vault) △MPC 핫월렛(uMPC, Unlimited Multi-Party Computation) 기술과 함께 규제 환경에 맞춰 플랫폼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국내 기관 투자자는 보안·거버넌스·운영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Galaxy의 최고 수준 인프라와 완벽하게 통합된 기관 전용 스테이킹 서비스를 지원해 고객이 비댁스의 고도화된 내부 통제 시스템 내에서 안전하게 스테이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비댁스는 GK8의 토큰화 기술을 활용해 스테이블코인, STO 등 다양한 토큰화 프로젝트를 금융기관급 거버넌스 및 규제 준수 통제 하에 발행하고 관리할 계획이다. 국내 은행, 증권사, 자산운용사 및 핀테크 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검증된 GK8 커스터디 기술 기반의 커스터디 서비스를 통해 규제 기대치에 부합하는
국내 패션 브랜드의 온라인 성장을 지원해 온 칸그림이 유통·테크 기반 플랫폼 ‘브랜드집(Brandzip)’을 중심으로 사업 확장을 본격화한다. 2015년 설립된 칸그림은 현재까지 국내 500여 중소 패션 브랜드와 협력, 온라인 통합 유통을 전개해 온 10년 차 온라인 유통·테크 기업이다. 브랜드들의 안정적인 유통 사업을 위한 온라인 채널 연동·상품 등록·매출 분석까지 원스톱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 왔다. 올해부터는 단순한 유통 지원을 넘어 패션 브랜드가 가장 필요로 하는 자금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선정산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를 통해 브랜드들은 판매대금 정산 지연의 부담을 줄이고, 보다 공격적인 마케팅과 상품 기획에 집중할 수 있다. 특히 칸그림은 올 하반기 ‘브랜드집AI’를 론칭한다. ‘브랜드집AI’는 AI 에이전트 기능을 도입해 개별 상품과 브랜드 전체 매출을 에이전트가 분석·제안하며, 나아가 브랜드 상품 개선 및 유통 전략 조언까지 제공하는 국내 최초의 AI에이전트 기반 유통채널 관리 포털로 진화해 나갈 예정이다. 여기에 더해 내년 1사분기부터는 해외 판매 카트 서비스까지 확장해 국내 브랜드들이 글로벌 시장에 보다 손쉽게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
아하앤컴퍼니(대표 서한울)가 토스의 앱인앱(App in App) 플랫폼인 ‘미니앱’에 투표토론 커뮤니티 ‘아하스파링’을 출시, 3000만 토스 가입자가 별도 설치 없이 투표와 토론을 경험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동으로 3000만 명의 토스 가입자는 토스 미니앱에서 곧바로 아하스파링의 투표토론 기능을 경험할 수 있다. 이는 커뮤니티 서비스로서는 최초 출시 사례다. 아하는 변호사·의사·세무사 등 전문가에게 질문하고 답을 받는 신뢰 기반 Q&A 커뮤니티에서 출발해 최근 실시간 검색어 기반의 ‘아핫뉴스’를 선보이며 정보 소비와 토론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구조로 확장했다. 아하스파링은 사회·경제·정치·일상을 아우르는 이슈를 두고 누구나 가볍게 투표하고 의견을 나누는 참여형 투표토론 커뮤니티다. 최근 아하스파링에서는 ‘논란의 노란봉투법’,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결혼할 때 가장 중요한 것’, ‘AI 패권의 주인’ 등 다양한 사회/일상 주제가 오르며 뜨거운 토론의 장을 만들어 왔다. 아하는 아하스파링을 전문 서베이보다는 가볍지만 민심과 여론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퀵 서베이’ 도구로 발전시킬 계획이며, 세대·성별·직군 등 특성별 데이터를 제공하는
베트남의 대표적인 커피 프랜차이즈 하이랜즈 커피를 운영하는 비엣타이 인터내셔널 그룹(VTI 그룹)이 한국 1위 베이커리 브랜드 파리바게뜨 베트남 법인을 합병한다고 10일 발표했다. 이번 합병은 2025년 4월부터 공식 적용되며, VTI 그룹이 다각화된 식음료(F&B)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평가된다. 파리바게뜨, VTI의 포트폴리오에 합류 VTI 그룹은 공식 링크드인 발표를 통해 “2025년 4월부터 파리바게뜨를 그룹의 새로운 일원으로 맞이한다”며, 이번 합병이 “세계 최고를 베트남으로, 베트남 최고를 세계로”라는 그룹의 미션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파리바게뜨는 2012년 베트남에 진출해 현재 9~10개 매장을 운영 중이며, 고급 베이커리와 현대적 카페 공간을 결합한 모델로 젊은 층과 사무직 근로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파리바게뜨의 모회사 SPC그룹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한국을 제외한 11개국에서 550개 매장을 운영 중이며, 2030년까지 글로벌 1만2000개 매장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베트남 내 매장은 현재 10개로, 이번 합병을 통해 VTI의 운영 노하우를 활용해 추가 성장이 기대된다. F&B 생태계 구축과 크로스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