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쇼핑은 2025년 상반기 베트남 사업에서 매출 7% 성장을 기록하며 해외 시장 중 가장 강한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특히 롯데마트 베트남은 매출 2140억 원(1억5500만 달러)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23.5% 증가한 210억 원(1510만 달러), EBITDA는 19% 오른 310억 원(2230만 달러)을 달성했다. 롯데마트는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서만 해외 사업을 운영 중이다. 인도네시아는 르바란 휴일로 인해 실적이 주춤한 반면, 베트남은 영업이익이 인도네시아의 약 2배, EBITDA는 1.5배 수준으로 큰 격차를 보였다. 롯데마트는 2008년 베트남에 진출해 현재 주로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15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다만, 매출 규모는 현지 경쟁사에 비해 다소 낮다. 마산그룹의 윈커머스는 상반기 매출 17조9000억 동(6억7900만 달러, 13% 증가)을, 모바일월드그룹의 박호아싼은 22조6000억 동(8억5600만 달러, 16% 증가)을 기록했다. 하지만 두 경쟁사의 영업이익은 각각 2050억 동(780만 달러)과 680억 동(260만 달러)으로, 롯데마트의 수익률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쇼핑의 베트남 부동산 사업도 두드러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외에서 생산된 반도체에 대해 “머지않아 상당한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내 생산과 투자를 확대하지 않는 기업을 압박해 제조업을 본토로 불러들이겠다는 구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 시각) 주요 기술기업 최고경영자(CEO) 20여 명과 가진 만찬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곧 칩(반도체) 세금을 부과할 것”이라며 “다만 미국 내에서 이미 공장을 짓고 있거나 투자 계획을 세운 기업은 면제 대상이 될 것”이라고 했다. 정확한 시점과 세율은 언급하지 않았으나 “높지 않지만 충분히 의미 있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의 팀 쿡 CEO는 괜찮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투자 확대 기업에 대한 면제 조건을 직접 예로 들었다. 애플은 최근 4년간 미국 내 6000억 달러(약 807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반도체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지만, TSMC·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처럼 미국 내 공장을 건설 중이거나 투자 의사를 밝힌 기업은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미 의회는 지난 2022년 반도체 연구·제조 지원에 527억 달러를 투입하는 ‘칩스법(CHIPS Act)
오늘(9월 5일) VN-지수가 아침 장에서 1,700포인트를 돌파한 이후 투자자들이 마지막 시간에 주식을 대량 매도하며 시장이 급반전했다. 호치민시 증권거래소(VN-Index)를 대표하는 지수는 오후 2시 이후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되며 약 30포인트 가까이 급락했다. 결국 종가는 약 1,667포인트로 마감하며 참고선 대비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10일간 가장 큰 낙폭이다. 아침 장에서는 VN-지수가 약 1,707포인트까지 치솟으며 200종목 이상이 상승세를 보였고, 하락 종목은 절반 수준이었다. 대형주 바스켓(VN30)에서도 20종목이 상승하며 1,900포인트 존에 근접했다. 그러나 1,700포인트라는 심리적 저항선을 돌파한 후 시장은 힘겨루기 상태로 접어들었다. 한때 15포인트 상승하던 지수는 점심시간까지 9포인트 상승폭으로 좁혀졌다. 빈그룹 VIC 주도…은행주도 긍정적 영향 오늘 VN-지수가 처음 1,700포인트를 돌파한 데는 빈그룹(Vingroup)의 VIC 주식이 큰 역할을 했다. VIC는 아침 장 초반 1% 상승한 후 폭을 넓혀 약 4%까지 치솟으며 지수에 4포인트 이상 기여했다. 은행주 역시 시장 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VC
(굿모닝베트남미디어) 베를린 2025년 9월 5일 -- 글로벌 소비자 가전 및 생활가전 선도 기업 하이센스(Hisense)가 IFA 2025에서 'AI Your Life'를 주제로 한 AI 기반 혁신 제품 전 라인업을 공개한다. 몰입형 엔터테인먼트와 시네마급 경험부터 직관적인 스마트 홈 라이프와 기후 스마트 웰빙에 이르기까지, AI가 모든 시나리오를 개인화된 인터랙티브 경험으로 매끄럽게 변환하는 모습을 선보일 예정이다. AI Your Vision: 모든 장면이 생생하게 살아나는 순간 하이센스는 몰입형 홈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최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을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RGB-MiniLED TV 116인치 UX는 8000니트에 달하는 최고 밝기와 함께 깊은 블랙 표현력과 선명하고 풍부한 색감을 제공해, 영화 감상이나 스포츠 경기 시청 등 세부 묘사가 중요한 장면에서 최상의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RGB-MiniLED 기술의 원조로서, 하이센스는 적•녹•청(RGB) 미니 LED의 정밀 제어 기술을 통해 실제와 같은 선명도를 구현하는 과정을 시연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MicroLED 디스플레이, AI TV, AI 기반 사운드 솔루션
AI 기반 HEMS, 스마트한 에너지 관리를 위한 새로운 기능 탑재 ZEN+ 홈 에코시스템의 일부인 e-cargo 바이크 콘셉트 공개 베를린 2025년 9월 5일 -- 태양 에너지 혁신 기업 젠듀어(Zendure)가 지능형 ZEN+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HEMS)에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하며 확장하고 있다. 여기에는 정밀 부하 제어, 최적화된 데이터 기반 에너지 관리, 음성 비서 기능이 포함된다. 이와 동시에 젠듀어는 e-cargo 바이크 콘셉트를 통해 전기 모빌리티 시장에 진출한다. 두 가지 혁신 제품은 프로토타입과 함께 2025년 9월 5일부터 9일까지 열리는 베를린 IFA 전시회(H2.2-209 부스)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ZEN+ 홈 에코시스템은 전 세계 가정에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한다. 핵심 스마트 HEMS는 AI를 활용하여 소비량, 발전량, 가격을 예측함으로써 7~22%의 높은 전력 생산량과 최대 42%의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700개 이상의 유럽 전력 공급업체의 동적 요금제와 통합돼 개인 맞춤형 계획을 수립하며, 실시간 데이터, 날씨,
베트남 관광객이 한국을 찾는 수치가 급증하며 동남아 2위 관광객 국가로 떠올랐다. 한국관광공사(KTO) 베트남 지사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7개월 동안 약 370만 명의 베트남 관광객이 한국을 방문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필리핀(383만 명)에 이어 동남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수치다. 반면, 한국 관광객은 베트남으로 대거 몰리며 상반기 7개월 동안 250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1,200만 명의 해외 관광객 중 약 20%를 차지하며, 중국(310만 명)에 이어 베트남으로의 2위 송출 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2024년에는 양국 간 총 관광객 수가 처음으로 500만 명을 돌파했으며, 이 중 460만 명이 한국 관광객으로, 중국을 제치고 베트남 최대 송출 시장으로 부상했다. KTO 베트남 지사는 "양국 간 상호 매력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한국, 베트남 시장 공략 본격화…ITE HCMC 참가 한국은 베트남 관광 시장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오는 9월 4일부터 6일까지 호치민시에서 열리는 제19회 국제관광박람회(ITE HCMC)에서 KTO 베트남은 부스를 운영하며 신규 관광 상
글로벌 임직원 안전 관리 전문 기업 인터내셔날SOS가 리스크 솔루션 기업 Exlog Global(이하 Exlog)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보안과 보호 인텔리전스를 통합한 원스톱 경영진 서비스 솔루션을 제공한다. 새로운 솔루션에는 △경영진 노출 평가 △보호 정보 및 위협 모니터링 △전용 경영진 대응 핫라인 △고품질 보안 및 의료 지원 △사전 대응 프로토콜 등이 포함된다. 선택형 서비스로는 △경영진 보호 △거주지·사무실 물리적 보안 평가 △보안 인식 교육 △리스크 평가 △온라인 프로파일 관리 △회복탄력성 교육 △TSCM(통신보안·도청방지) 등이 제공된다. Exlog는 군 경력자가 설립한 미국 리스크 솔루션 기업으로, 고객 맞춤화된 24시간 글로벌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보호 정보, 비상 대비 계획, 중대 사건 대응을 지원한다. 인터내셔날SOS는 40년 이상 190개국에서 다국적 기업, 정부기관, NGO에 통합 의료 및 보안 지원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양사는 각 사의 전문성을 결합해 보호 인텔리전스, 고객 전용 GSOC·VSOC의 개발 및 운영 역량을 포함한 고도화된 통합 경영진 보호 솔루션을 구축한다. 특히 이번 파트너십은 다음과
Qt Group(나스닥 헬싱키: QTCOM)은 FACE®(Future Airborne Capability Environment®) 적합성 인증을 완료한 Qt 프레임워크의 신규 버전 ‘Qt for MOSA’를 출시했다. FACE 컨소시엄의 준회원(Associate Member)인 Qt가 제공하는 FACE® 적합 프레임워크 ‘Qt for MOSA’는 개발을 더 빠르고 쉽게 만드는 종합·간소화 해법으로, 고급 기능과 안전 표준 준수를 동시에 충족한다. 이로써 방위 분야 지상 및 공중 차량 프로그램의 UI 애플리케이션도 다른 산업에서처럼 Qt가 제공해 온 고급 기능과 비용 효율의 이점을 누릴 수 있게 됐다. FACE 기술 표준은 방위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컴퓨팅 환경을 표준화하기 위한 개방형 표준이다. 학계, 미·영 정부, 산업계가 협력하는 FACE 컨소시엄이 잦은 모듈식 업그레이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었다. 이 표준은 다양한 플랫폼과 벤더 전반에서 이식 가능하고 상호운용되며 재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개발을 요구한다. 다수의 운영체제와 임베디드 장치에서 상호운용성을 입증해 온 Qt 프레임워크는 이러한 요구에 적합하다. FACE 적합성을 통해 Qt 프레임
에스피소프트가 GPU 가속 기능을 더한 가상 데스크톱(DaaS, Desktop as a Service)을 상용화한다고 2일 밝혔다. 클라우드 기반 가상 데스크톱 서비스(DaaS)가 기업의 표준 업무 환경으로 자리 잡은 가운데, 가상 GPU를 지원하는 DaaS로 AI 시대에 걸맞은 차세대 업무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기존의 DaaS는 클라우드 서버의 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원을 기반으로 문서 작성, 웹 브라우징 등 표준 사무 업무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해 왔다. 업무 연속성을 보장하고 표준화된 보안 환경을 제공하지만, AI 프로젝트에 사용하는 GPU 기반의 데이터 분석, 그래픽 렌더링, 영상 처리, 시뮬레이션 등의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하기 어려운 제약이 있었다. 이번에 선보인 ‘DaaS for AI’는 기존 DaaS의 편의성과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고성능 그래픽·연산 자원이 필요한 전문 업무까지 지원한다. 즉 기존 DaaS에 GPU(그래픽·병렬 연산 처리 장치) 가상화 기술을 접목해 한 단계 진화한 업무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에스피소프트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도 부담 없이 도입할 수 있도록 초기 투자비 없이 월 단위 요금제로 사용할 수